본문 바로가기
개발 관련 이야기

명령어 모음 - Ubuntu 18.04

by 꿈틀쓰 2022. 8. 7.

이제까지 윈도우만 쓰다가 일 때문에 처음으로 우분투를 써봤다.

윈도우랑 명령어가 달라서 처음에 손에 안익었지만 이제 좀 익숙해졌다.

여기에 상시로 배운 명령어를 적어놓고 나중에 기억안날 때 찾아봐야겠다.

 

1. top

top은 현재 돌고 있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제일 위에 있는게 cpu를 가장 많이 잡아먹고 있는 애들이다.

갑자기 우분투가 멈췄을 경우, cpu 사용률이 가장 큰 애들(거의 리스트의 위에 있는 애들)을 죽여주면 다시 살아날 수 있다. 물론 무조건 맨 위에 것이 프로그램을 멈추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갑자기 아무것도 동작하지 않을 때 ctrl + alt + F6을 누르면 쉘 화면으로 들어간다. 로그인을 하고 top을 치면 저렇게 리스트가 나온다. 예를 들어 Visaul Studio Code를 사용하다가 멈췄을 경우 위의 COMMAND가 code라고 되어 있는 애들을 죽인다. 그러면 해당 화면에서 k를 누르면 kill을 수행할 수 있도록 리스트의 하얀색 타이틀 바 위로 강제종료할 프로세스의 아이디를 입력하라고 한다. 그럼 code의 PID를 확인해보자. 11429, 14296이 있는데 위에 있는 11429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보면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기본값은 제일 위에 있는 PID이므로 제일 위에 있는 프로세스를 죽일 경우 그냥 엔터를 치면 된다.

 

2. ls / ll

윈도우에서 해당 위치의 폴더를 출력할 때 dir 명령어를 사용하듯이 리눅스계열에서는 ls를 사용한다. ll은 수정된 날짜, 크기, 접근권한까지 출력해준다.

 

3. mv

파일을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mv 파일명 옮겨질경로/파일명

처럼 사용하는데 리눅스에서 파일명을 바꾸는 명령어가 따로 없기 때문에 mv를 사용해서 경로는 변경 안하고 그냥 rename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4. df

시스템에 마운트된 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df -h로 사용하면 보기 쉽게 남은 용량이 출력된다.

 

5. ssh

다른 리눅스계열의 시스템에 원격으로 접속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X 플래그를 사용하면 원격접속에서 실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를 열 수 있다.

ssh -X 사용자명@도메인(IP주소) 와 같이 사용한다.

 

6. clear

이전에 쉘에 출력된 것들을 싹 지워준다.

 

7. history

최근에 사용했던 명령어들을 출력해준다.

 

8. rm / rmdir

rm는 파일, rmdir는 폴더를 삭제한다.

rmdir를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하면 내부에 파일이나 폴더가 있을 때 삭제할 수 없다. -rf 플래그를 줘서 하위 폴더와 파일도 모두 지울 수 있는데 undo가 안되기 때문에 사용 시 신중해야 한다.

 

9. touch

파일 생성에 사용되는 명령어이며 생성 뿐만 아니라 옵션에 따라 파일 접근 시간 (access time)과 파일 수정 시간 (modification time)을 수정할 수 있다.

touch 파일명 와 같이 사용한다.

 

 

댓글